타자치는 거북이

  • 홈
  • 코딩테스트

Big-O 1

Big-O 표기법 활용하기

알고리즘 과목을 처음 배워도, 코딩테스트를 처음 시작하려고 해도 꼭 나오는 개념이 있다.바로 시간 복잡도를 표현할 수 있는 Big-O 표기법이다.문제만 풀 줄 알면 됐지 하고 넘어간다면, 시간 초과 오류와 마주칠지도 모르겠다. 이론은 이해하겠는데, 대체 코딩테스트 문제를 풀 때 어떻게 활용하라는 거야?   시간 복잡도란? 알고리즘의 연산 횟수, 즉 성능을 수학적으로 표현해주는 표기법이다.일반적으로 1초에 1억 번의 연산을 수행한다고 가정한다.Big-O 시간 복잡도는 항상 최악일 때, 즉 데이터의 크기가 가장 클 때를 기준으로 한다.(Big-Ω는 최선일 때, Big-Θ는 보통일 때를 나타낸다.) 실제 러닝타임보다는 알고리즘의 성능을 예측하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 상수는 고려하지 않는다.반복문이 여러 개 있..

코딩테스트/알고리즘 2024.03.28
이전
1
다음
더보기
프로필사진

  • 분류 전체보기 (14)
    • Backend (1)
      • Spring (0)
      • Frontend (1)
    • 코딩테스트 (5)
      • JAVA (1)
      • 자료구조 (0)
      • 알고리즘 (4)
    • 이것저것 (1)
      • 블로그 (1)
      • 부트캠프 (3)
      • 자격증 (1)
    • Settings (2)

최근글과 인기글

  • 최근글
  • 인기글

최근댓글

07-10 16:25

Tag

공지 등록, 알고리즘, Firebase, notranslate, 인프런, 백엔드, 코드블럭, Big-O, 투포인터, 자동번역, 우테코, 구간합, 개발자, firestore, temurin, 코딩테스트, 워밍업클럽, 엘리스트랙, 백준, react,

Copyright © Kakao Corp. All rights reserved.

티스토리툴바